2024 국가건강검진 안내 사이트
본문 바로가기
수면, 잠자리 질환

자다가 움찔, 자다가 발작 했다면? 이유는? 큰 병은 아닐까요?

by 헬스케어 매니저 2023. 8. 11.
반응형

자다가 움찔? 가위에 눌린것도 아닌데 갑자기 잠에서 확 깰정도로 온 몸이 떨리면서 몸을 세우면서 일어나본 경험이 있을겁니다. 순간 너무 놀라서 내가 무슨 병에라도 걸린건 아닌지 덜컥 겁이 났을 텐데요. 자다가 움찔, 자다가 발작했다면 그 이유가 무엇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잘 자고 있다 아무이유 없이 갑자기 몸이 움찔하고 깨면 내 몸에 이상이 생겼나 하고 덜컥 겁이 납니다.

 

자다가 움찔 정식 이름은 '수면 놀람증'

잠자는 도중 갑자기 몸을 움찔하며 깨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아마 대다수의 사람들이 한 번쯤은 이런 경험을 했을 것입니다. 바로 이 현상을 '수면 놀람증'이라고 합니다. 


자다가 발작 하는 이유

수면은 우리가 하루 동안 경험한 일들을 정리하고 몸을 휴식시키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수면은 비렘수면과 렘수면으로 나뉘며, 각각의 단계에서 몸의 상태와 뇌의 활동이 변화합니다. 그 중에서도 수면 놀람증은 비렘수면에서 주로 발생하는 현상 입니다. 비렘수면은 수면의 단계 중 하나로, 수면에 빠지는 초기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 몸은 점차 근육 이완 상태로 전환됩니다.



"자다가 발작했다면

비렘수면 상태에서 근육 이완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서 입니다"

 

 

수면 놀람증은 바로 이 근육 이완 상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때 발생합니다. 

잠에 들기 직전에 발생하는 이 근육 이완은 수면의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점점 깊어지며 이루어지는데, 만약 근육이 충분히 이완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면에 빠지려고 하면 근육 발작이 발생하면서 몸이 움찔하거나 발작과 비슷한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이러한 수면 놀람증은 특별한 병이나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일상적인 상황에서 피로나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는 경우에 더 자주 나타날 수 있습니다. 피로나 스트레스가 심한 경우에는 몸이 긴장 상태를 유지하려 하기 때문

에 근육 이완이 잘 이뤄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또한 밤늦게까지 활동하거나 강한 각성을 유발하는 음식이나 음료를 섭취

한 경우에도 수면 놀람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잠자리가 불편하신가요? 
잠 잘때 불편한 다양한 원인들
 

잘 때 다리에 쥐나는 이유, 다리에 쥐나는 원인

자면서 다리에 쥐가 나는 이유 6가지 잘 자고 있다 갑자기 발이나 종아리 허벅지쪽에 쥐가 확! 하고 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다가 한 쪽 발이 이상한 모양으로 꼬이면서 쥐가 났을 때 발바닥을

today-tomorrow-health.tistory.com

 

자고 일어나면 어지러움. 이유는? 여러증상으로 나의 어지러움 원인 찾아보기

자고 일어나면 어지러움 때문에 앞이 잘 보이지 않고 일어나기 힘든 분들. 잘때도 어지럽고 옆으로 자세를 바꿀때마다 어지럽고 구토감도 있는 분들.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큰 병을 막을 수 있

coooolinfo.com

 

손저림 발저림 잘때 손발저림 방치하면 안됩니다

“경추에 연결된 신경이 눌리면 손이 저리기 쉬워요“

coooolinfo.com


자다가 발작 큰 병은 아닐까?

자다가 움찔하거나 발작 같은 현상이 나타난다고 해서 큰 병이라고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수면 놀람증은 건강한 사람들 에게도 가끔 발생할 수 있는 일상적인 현상입니다. 피로나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므로, 평소에는 충분한 휴식 과 스트레스 관리를 신경 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밤에는 강한 각성을 유발하는 음식이나 음료를 피하고, 편안한 환경에서 자면 수면 놀람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만약 수면 놀람증이 계속해서 자주 나타난다면 전문의의 조언을 받아보시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하지만, 발작이 일상생활에서도 나타난다는건 뇌전증을 의심해 볼 수 있으니 반드시 병원에 가서 진단을 받아보셔야 합니다.

 


발작이 잦아서 불안하다면 신경과 병원에 가서 자세한 진단을 받아보시길 권장합니다.


또 다른 발작 '뇌전증' 

뇌전증 전조증상

뇌전증은 뇌신경세포 중 일부가 짧은 시간동안 일시적이고 불규칙적인 이상흥분현상을 보이고, 이로 인해 과도한 전류를 발생시켜 나타나는 주기적으로 재발되는 발작을 의미합니다. 

 

  • 운동성 경련 발작 : 한 쪽 팔만 떨림 
  • 측두엽 뇌전증 : 멍해지면서 일시적으로 의식을 상실하고 입맛을 다시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음. 심할 경우, 양쪽 뇌에 전체적으로 퍼지면 거품을 물고 온몸이 뻣뻣해지는 대발작이 나타나기도 함
  • 눈꺼풀이 가볍게 깜빡이거나 몸 전체가 격하게 떨림

 

뇌전증 원인

뇌전증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고 연령에 따라 그 원인이 다를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원인을 찾아 교정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뇌전증의 원인은 유전, 교통사고로 인한 뇌손상, 미숙아, 분만 중 뇌손상, 분만 중에 아기의 뇌에 산소 공급이 안 되었을 경우, 뇌염이나 수막염을 앓고 그 후유증으로 뇌의 신경세포가 망가진 경우, 뇌가 형성되는 중에 문제가 있는 경우, 뇌종양, 뇌 혈관기형, 뇌 내 기생충 등 원인이 밝혀진 경우도 있으나 상당히 많은 수는 원인을 알지 못합니다.

 

뇌전증 치료

뇌전증은 약물을 쓰거나 수술을 통해서 치료를 받는데, 80%정도는 약물치료를 받습니다. 항경련제로 증상 조절이 가능하고 이 중에 30~40%정도는 약을 끊어도 재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억누르는 약물을 쓰거나 이러한 현상을 일으키는 병소를 제거하면 증상의 완화와 치료가 가능한 병으로, 대부분의 경우에는 조절이 가능한 질병이고 일부에서는 완치를 기대할 수도 있는 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발작이 잦아서 불안하다면 신경과 병원에 가서 자세한 진단을 받아보시길 권장합니다.


뇌전증은 증상이 나타났을 때를 대비해 신체적으로 힘을 키우는 운동을 해놓는것이 중요합니다. 

근력을 키울 수 있는 운동을 규칙적으로 해주고 스트레칭도 같이 병행해 주는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건강과 젊음은 잃고 난 뒤에야
그 고마움 알게 된다

 

*

<오늘도 내일도 건강하게> 는

올바른 건강습관을 기를 수 있는

정보만을 제공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