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님 고민]
알바생을 고용했는데 고용주입장에서 근로자가 4대보험 가입을 원치 않는 경우 이를 악용하는 일이 일어날까봐 고민이 많이 되실겁니다. 4시간 아르바이트, 8시간 아르바이트.. 아르바이트 4대 보험 가입해야할지 말아야 할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일반적으로 구분하는 아르바이트생과 근로자 차이▼
구분 | 아르바이트생 | 근로자 |
---|---|---|
4대 보험 | 근무 시간, 소득 수준에 따라 가입 여부 달라짐 (일반적으로 근로자보다 가입률 낮음) | 일반적으로 4대 보험에 가입 |
소득세 | 근로소득세 납부 (연말정산 가능) | 근로소득세 납부 (연말정산 가능) |
세율 | 소득 수준에 따라 누진세율 적용 | 소득 수준에 따라 누진세율 적용 (단, 아르바이트 소득이 적을 경우 세율이 낮을 수 있음) |
사업소득 | 프리랜서 형태로 일하는 경우 사업소득으로 분류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근로소득으로 분류 |
알바 4대보험 가입 의무일까
아르바이트 4대보험 가입 의무
국가 4대보험
1. 국민연금
2. 건강보험
3. 고용보험
4. 산재보험
4대보험은 위 4개의 보험을 의미하며
국민이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건강과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가입을 해야 하는 제도 입니다.
그런데 아르바이트 생의 경우는 어떨까요?
알바생이니까 가입 안시켜도 될까요?
아래는 4대 보험에 대한 소개를 간략하게 정리해놓은 것이니 고용주는 4대보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한 번쯤 훑고 가시는 것이 좋습니다.
4대보험 _ 국민연금
정부가 직접 운영하는 공적 연금 제도로, 국민 개개인이 소득 활동을 할 때 납부한 보험료를 기반으로 하여 나이가 들거나, 갑작스런 사고나 질병으로 사망 또는 장애를 입어 소득활동이 중단된 경우 본인이나 유족에게 연금을 지급함으로써 기본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금제도를 말한다.
4대보험 _ 건강보험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한 고액의 진료비로 가계에 과도한 부담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국민들이 평소에 보험료를 내고 보험자인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이를 관리·운영하다가 필요시 보험급여를 제공함으로써 국민 상호간 위험을 분담하고 필요한 의료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사회보장제도이다.
알바 4대보험 가입조건 가입대상
아르바이트 4대보험 가입 자격
사장님들 중 아르바이트생은 보험료가 나가는 것이 부담스러워 가입을 안하거나, 또는 근로자가 아니라 생각하고 가입을 안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사업자라면 정직원, 아르바이트생 상관없이 사업장에 직원을 1명 이상이라도 고용했다면 의무적으로 4대보험에 가입을 해줘야 합니다.
고용주는 알바 직원을 4대 보험에 가입 시켜야 하며,
알바생은 급여 수령 시 세금을 제외한 금액을 받게 됩니다.
아르바이트 4대보험 가입조건
아르바이트 4대보험 가입 자격
앞서 말씀드린 4대보험 기억나시죠. 가입조건도 근로자의 상황에 따라 가입을 할 수 있는 자격과 조건이 달라집니다.
1. 국민연금
2. 건강보험
3. 고용보험
4. 산재보험
아르바이트 4대보험 국민연금, 건강보험
아르바이트생이 주 15시간 및 월 60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일 경우
알바생 4대보험 고용보험
주 15시간 및 월 60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일 경우
근로 시간을 충족하진 못하지만, 3개월 이상 일한 근로자
아르바이트생 4대보험 산재보험
근로자라면 기준 없이 반드시 가입해야 합니다.
알바 사대보험 보험료
아르바이트 사대보험 세금
알바생을 4대보험에 가입할 경우 3.3%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월급을 100만 원 받는다면 3.3%를 제외한 96만 7000원을 수령하게 됩니다.
알바 사대보험 가입방법
아르바이트 4대보험 가입방법
만약에 사업주가 한 번도 4대보험에 가입을 해본 적이 없다면 먼저 '사업장 성립 신고'를 해야 합니다.
사업장 성립신고 방법
1. 4대사회보험정보연계센터 홈페이지 접속
2. 사업장 업무 > 성립신고 클릭
*공동인증서 로그인 필수
4대보험 취득신고 방법
1. 4대사회보험정보연계센터 홈페이지 접속
2. 사업장 가입자 업무 > 자격취득 클릭
*공동인증서 로그인 필수
알바 사대보험 가입 보험 보장
알바사대보험 가입 보장
4대보험은 국민 소득과 건강을 보장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1. 산재보험에 가입되면 근무하는 중에 질병이 생기거나 부상이 발생했을 때 치료비 및 보장금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2. 건강보험은 의료서비스(건강검진, 진료비 등)를 이용할 때 지원받는 보험으로 건강보험에 근로자가 가입되면 '직장가입자'로 의료비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해줍니다.
3. 고용 보험은 근로자가 실직했을 때 생계유지, 직업능력 개발, 실적 예방 등의 사회 경제문제를 해결해주는 보험입니다.
'2025 건강검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진병원 근무] 회사 건강검진 결과 통보 안내 (0) | 2025.01.15 |
---|---|
대장내시경 주기, 검진병원에서 권고하는 대장내시경 적정 주기 (검진병원 근무) (0) | 2024.05.12 |
(검진병원 직원)건강검진 결과 소변(요단백, 요당, 요산도 등) 검사 결과 해석 안내 (0) | 2024.04.30 |
건강검진 혈액검사 결과, 당뇨 공복혈당(Glucose) 당화혈핵소(HbA1c) 수치 해석, 당뇨 관리법 (0) | 2024.04.29 |
2025 국가무료건강검진 '직장가입자' 대상자 Q&A(검진병원 직원 안내) (0) | 2024.03.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