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내시경, 대장내시경을 할 때 선택해야 할 수면/비수면의 차이와 장단점, 그리고 수면내시경의 부작용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2024년 국가건강검진 대상자의 경우
위내시경을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목차
위내시경 수면-비수면
수면내시경 - 비수면내시경 비교
위내시경 수면 비수면 차이
수면 내시경 | 비수면 내시경 | |
---|---|---|
검사 방법 | 진정제 투여 후 의식 상태에서 진행 | 목에 마취제 분사 후 진행 |
검사 소요 시간 | 약 30~40분 소요 | 약 5~10분 소요 |
검사 후 주의 사항 | 검사 당일 운전 금지 권장 | 특별한 운전 제한 사항 없음 |
환자의 움직임 | 일부 환자에서 몸을 움직일 수 있음 | 검사 중 환자의 움직임에 대해 사전 상담 권장 |
마취 비용 | 마취 비용이 포함 | 마취 비용 없음, 따라서 검사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 |
검사 후 잠재적 영향 | 검사 후 통증, 목의 이물감, 복통, 또는 출혈이 발생할 수 있음 | 수면 내시경과 유사한 잠재적 영향이 발생할 수 있음 |
수면내시경에 사용되는 '진정제'
수면내시경 '진정제'
수면내시경 '진정제'
수면내시경을 할 때 투여하는 진정제는 잠을 자도록 도움을 주는 수면제입니다. 성인기준, 내시경시 투입되는 진정제는 소량으로 인체에 크게 해가 되지는 않지만 간혹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정제는 내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오랫동안 진정제를 투여하면 나중에 큰 수술을 받을 때 마취가 잘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수면진정제 약물 종류
벤조다이아제핀 계열 : 에스타졸람, 플루라제팜, 트리아졸람, 로라제팜, 알프라졸람 등
비 벤조다이아제핀 계열 : 트라조돈, 졸피뎀, 조피클론 등
수면진정제 부작용
수면내시경 진정제 부작용
수면진정제를 복용하면 두뇌 작용이 느리게 되어 말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피곤, 균형감각 저하, 동공확대, 숨쉬기 어려운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용량을 복용할 경우 기억력, 판단력, 운동기능 장애가 생기거나 성급해지고, 피해망상이나 자살충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수면진정제의 역설적인 효과로 흥분하거나 공격적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내시경 전 복용 중단 약
내시경 받기 전에 복용약 확인하기
아스피린과 같은 항혈소판제제나 항응고제(와파린)을 드시는 분은 담당 주치의에게 확인 후 검사 1주일 전 복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항혈소판제제 약 종류
항혈소판제제 약 종류 확인
해당 제제는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항혈소판제제 약 종류에는 아스피린프로텍트, 디스그렌, 이부스트린, 프레탈, 플라빅스 등이 있습니다.
항응고제제 약 종류
항응고제제 약 종류 확인
항응고제제란 혈액이 응고되는것을 감소시켜서 혈관 내에 비정상적 혈전 형성을 방지하는 약물을 말합니다.
항응고제제의 약 종류에는 헤파린, 후락시파린, 자이버, 프라그민, 크렉산, 와파린 등이 있습니다.
내시경 전 필독 사항
내시경을 하실 계획이신 분들은 아래 글을 반드시 참고하시어 정확한 검사 결과와 사후 건강관리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검진병원 직원이 안내하는 글입니다. 꼼꼼히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전날 총 주의사항(음식섭취, 복용약 등)
'2025 건강검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진병원직원) 콜레스테롤 높은 이유와 관리방법 : LDL 저밀도콜레스테롤, HDL 고밀도콜레스테롤 (0) | 2024.01.24 |
---|---|
2024 국가무료건강검진 '대장암' 검사 대상자 조회-예약 안내(검진병원) (0) | 2024.01.17 |
2025년 국가건강검진 6대 암검진 무료대상자 및 자기부담금 (0) | 2024.01.11 |
생리 중 건강검진, 생기기간 건강검진 겹쳤을 때 방법 안내(검진병원 직원) (0) | 2023.12.27 |
(검진병원 직원) 2025 국가무료건강검진, 직장가입자 건강검진 대상자 안내 (0) | 2023.1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