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진병원 매니저가 건강검진 시 반드시 받는 일반혈액검사(적혈구수, 혈색소, 백혈구, 혈소판, 빈혈, 헤모글로빈 등) 결과 해석을 해드리겠습니다.
혈액검사 항목별 정상수치를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혈액검사 결과 : 적혈구수(RBC count)
*적혈구수 : 혈액 내에서 존재하는 적혈구의 개수
정상 범위
남 4.2~6.5M/ul
여 4.0~6.0M/ul
▲증가
- 진성다혈구증, 탈수, 쇼크, 부신부전증, 심폐질환
- 적혈구 수치가 높아지면 혈점증, 혈전 형성, 혈압 상승 등의 건강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소
- 각종 빈혈, 골수기능부전, 출혈
- 적혈구수치가 낮으면 혈액의 산소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 혈색소(Hb)
*혈색소 :헤모글로빈( 혈액 내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단백질)
정상 범위
남 13.0~17.5g/dL
여 12.0~16.0g/dL
▲증가
- 적혈구 증다증
- 혈색소 수치가 증가하면 혈점증 및 혈액 응고 위험이 증가 가능성이 있습니다.
▼ 감소
- 빈혈, 혈액질환
혈액검사 결과 : 혈구용적치(Hct)
*혈구용적치 : 혈액 중 적혈구의 비율을 측정 (적혈구용적률(Hematocrit))
정상 범위 : 38 ~ 48%
▲증가
- 구토, 설사 등 탈수, 선청성심장질환, 고산병, 폐기종, 황달
- 적혈구 수가 증가하거나 탈수가 일어나면 적혈구 용적률은 상승합니다.
▼감소
- 각종 빈혈, 철결핍성빈혈
- 적혈구 생성이 줄어들거나 적혈구 파괴가 증가하거나 출혈이 있으면 적혈구 용적률은 감소합니다.
혈액검사 결과 : 혈소판(Platelet)
*혈소판 : 혈액 내에서 혈액 응고와 혈관 손상의 치유에 관여하는 혈소구 요소
정상 범위 : 130~450M/ul
▲증가
- 만성염증성질환, 감염성질환, 수술직후, 종양, 혈액질환
- 혈소판 수치가 증가하면 혈액 응고 능력이 강화되고 불필요한 혈전 형성 및 혈관 질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감소
- 감염성질환, 간경변, 특발성혈소판감소증, 각종 혈액질환
- 헤모글로빈 수치가 정상 범위 아래로 감소하면 빈혈로 인한 산소 공급 부족으로 피로, 어지러움, 피부 창백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 백혈구(WBC)
*백혈구 : 백혈구는 면역 체계를 지원하며 감염과 질병으로부터 몸을 방어하는 혈액 내 세포입니다.
정상 범위 : 4.0~10.0 개/ul
▲증가
- 급성감염증, 염증성질환, 급성출혈, 조직 괴사, 혈액질환
- 백혈구 수치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면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일어나거나 염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소
- 바이러스감염, 중증감염, 약물복용, 재생불량성빈혈, 악성빈혈
- 백혈구 수치가 정상 범위 아래로 감소하면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감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 림프구
*림프구 : 림프구는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백혈구 중 하나로, 감염과 면역 응답을 조절합니다.
정상범위 : 20% ~ 40%
▲증가
- 급성 및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전염성 단핵구증, 바이러스 감염, 매독
- 림프구 수치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면 면역 반응이 과도하게 활성화될 수 있습니다.
▼ 감소
- AIDS, 방사선 조사 시, 전신성 홍반성 낭창, 항암제 투여
- 림프구 수치가 정상 범위 아래로 감소하면 면역 기능이 약화되어 감염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 단핵구
*단핵구 : 단핵구는 면역 체계에서 염증 조절과 병원체 제거에 참여하는 백혈구입니다.
정상범위 : 2% ~ 11%
▲증가
- 감염, 혈관 질환,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 악성 종양 등
- 단핵구 수치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면 염증 반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감소
- 스테로이드 사용
- 단핵구 수치가 정상 범위 아래로 감소하면 면역 기능이 저하되어 감염 대처 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 호중구(급성 염증성 질환)
*호중구(급성 염증성 질환) : 중성구는 염증 부위로 이동하여 병원체 제거 및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백혈구
정상범위 : 48% ~ 75%
▲증가
- 감염증(세균, 진균), 대사성 중독(요독증, 당뇨병, 임신 중독), 악성 종양(골수 전이, 종양 괴사), 기타 염증 화상, 심근경색, 수술
- 호중구 수치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면 감염 및 염증이 심화
▼감소
- 감염증 (아토피, 풍진, 수두, 황열 등 바이러스)
- 호중구 수치가 정상 범위 아래로 감소하면 면역 대응이 약화되어 감염 대처 능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 호산구
*호산구 : 알레르기 반응 및 기생충 감염과 관련된 면역 체계의 백혈구
정상범위 : 0~5%
▲증가
- 감염, 류마티스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 호산구 수치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면 알레르기 반응이나 기생충 감염 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감소
- 간질, 쇼크, 급성 감염증
- 호산구 수치가 정상 범위 아래로 감소하면 면역 대응이 약화되어 감염 대처 능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혈액검사 결과 : 호염기성구
*호염기성구 : 염증과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면역 체계의 백혈구
정상범위 : 0~2%
▲증가
- 만성 골구성 백혈병, 호염기성 백혈병, 알레르기, 궤양성, 대장염, 류마티즘, 갑상선 기능저하증, 당뇨병, 결핵
- 호염기성구 수치가 정상 범위를 초과하면 알레르기 반응이나 염증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감소
- 두드러기, 뇌하수체, 부신계가 자극된 상태, 갑상선기능항진증, 감염성 염증
- 호염기성구 수치가 정상 범위 아래로 감소하면 면역 대응이 저하되어 감염 대처 능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5 건강검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2024 국가무료건강검진 '암무료검진' 대상자 (72) | 2023.09.06 |
---|---|
간 혈액검사 결과 수치 보는법 2탄 -간 기능검사- (혈청 지피티, 총단백, 알부민, 총빌리루빈, 지티피, 지오티) (47) | 2023.09.04 |
대장내시경 약 복용법 플렌뷰산 복용법 검진병원 직원이 알려드립니다. (1) | 2023.08.29 |
(검진병원 매니저) 대장약복용법 오전/오후 크리쿨산 복용법 (34) | 2023.08.28 |
건강검진 대장내시경약 복용 오라팡 복용법 검진병원 직원이 알려드립니다. (3) | 2023.08.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