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건강검진

2024 국가무료건강검진 안내 -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수면-비수면 장단점 비교(진정제 부작용)

헬스케어 매니저 2024. 1. 12. 16:25
반응형

위내시경, 대장내시경을 할 때 선택해야 할 수면/비수면의 차이와 장단점, 그리고 수면내시경의 부작용에 대해 안내드립니다. 


2024년 국가건강검진 대상자의 경우

위내시경을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목차 

1. 위내시경 수면-비수면 차이

2. 수면내시경 진정제 부작용

3. 내시경 전 복용 중단 약

4. 내시경(수면/비수면) 전 필독사항


 

위내시경 수면-비수면

수면내시경 - 비수면내시경 비교

위내시경 수면 비수면 차이

  수면 내시경 비수면 내시경
검사  방법 진정제 투여 후 의식 상태에서 진행 목에 마취제 분사 후 진행
검사 소요 시간 약 30~40분 소요 약 5~10분 소요
검사 후 주의 사항 검사 당일 운전 금지 권장 특별한 운전 제한 사항 없음
환자의 움직임 일부 환자에서 몸을 움직일 수 있음 검사 중 환자의 움직임에 대해 사전 상담 권장
마취 비용 마취 비용이 포함 마취 비용 없음, 따라서 검사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
검사 후 잠재적 영향 검사 후 통증, 목의 이물감, 복통, 또는 출혈이 발생할 수 있음 수면 내시경과 유사한 잠재적 영향이 발생할 수 있음

 

 

수면내시경에 사용되는 '진정제' 

수면내시경 '진정제' 

수면내시경 '진정제'

수면내시경을 할 때 투여하는 진정제는 잠을 자도록 도움을 주는 수면제입니다. 성인기준, 내시경시 투입되는 진정제는 소량으로 인체에 크게 해가 되지는 않지만 간혹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정제는 내성이 생길 수 있으므로 오랫동안 진정제를 투여하면 나중에 큰 수술을 받을 때 마취가 잘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수면진정제 약물 종류

벤조다이아제핀 계열 : 에스타졸람, 플루라제팜, 트리아졸람, 로라제팜, 알프라졸람 등

비 벤조다이아제핀 계열 : 트라조돈, 졸피뎀, 조피클론 등

 

수면진정제 부작용

수면내시경 진정제 부작용

수면진정제를 복용하면 두뇌 작용이 느리게 되어 말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피곤, 균형감각 저하, 동공확대, 숨쉬기 어려운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고용량을 복용할 경우 기억력, 판단력, 운동기능 장애가 생기거나 성급해지고, 피해망상이나 자살충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수면진정제의 역설적인 효과로 흥분하거나 공격적으로 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내시경 전 복용 중단 약

 내시경 받기 전에 복용약 확인하기

아스피린과 같은 항혈소판제제나 항응고제(와파린)을 드시는 분은 담당 주치의에게 확인 후 검사 1주일 전 복용을 중단해야 합니다.  

 

항혈소판제제 약 종류

항혈소판제제 약 종류 확인 

해당 제제는 혈소판의 응집을 억제하여 혈전의 생성을 억제하는 약물입니다. 

항혈소판제제 약 종류에는 아스피린프로텍트, 디스그렌, 이부스트린, 프레탈, 플라빅스 등이 있습니다. 

 

 

 

항응고제제 약 종류

항응고제제 약 종류 확인

항응고제제란 혈액이 응고되는것을 감소시켜서 혈관 내에 비정상적 혈전 형성을 방지하는 약물을 말합니다. 

항응고제제의 약 종류에는 헤파린, 후락시파린, 자이버, 프라그민, 크렉산, 와파린 등이 있습니다.  

 

 

내시경 전 필독 사항 

내시경을 하실 계획이신 분들은 아래 글을 반드시 참고하시어 정확한 검사 결과와 사후 건강관리를 해주시길 바랍니다. 

*검진병원 직원이 안내하는 글입니다. 꼼꼼히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 위내시경, 대장내시경 전날 총 주의사항(음식섭취, 복용약 등)

📍 헬리코박터균 검사 방법(1차, 2차)

📍 내시경 받은 후 음식 섭취방법 

📍 용종 제거 후 주의할 행동

📍 용종이 암이 될 확률


 

반응형